My Music & Moment


★팔레트로 그리다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 '경천사 십층석탑'

  •  WRITER : 관리자
    HIT : 916
    20-10-13 13:53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5월 20일 휴관했던 중앙박물관이 9월 28일 문을 열었고, 내가 5개 영상 작품으로 참여한 중앙박물관 특별전시 디지털 실감 영상관도 무사히 재개장. 그 중 오늘은 가장 인상에 남는 작품(여러 가지 의미로^^;) '경천사 십층석탑'의 제작 이야기를.

 

국보 제86호, 역사적 배경을 가진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중앙박물관 중앙로비에 위치한 높이 13.5m의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이 석탑은 다른 구조와 외관을 가지고 있어 불교 전래의 유구한 역사 배경, 정토로 향하는 사람들의 모습 등 다양한 상상력을 떠올리게 하고(실물은 아직 현지에서 직접 본 적이 없어 참 아쉽다!), 전시에서는 탑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 영상이 현대 기술을 구사하여 이 탑에 투영된다. 독특한 10층 건축구조에 초점을 맞춘 스토리 구성도 잘 되어있고, 음악을 만드는 입장에서도 매우 흥미롭고, 최근 제작 중 크게 의욕을 불러일으킨 작품 중 하나이기도 하다.

 

https://youtu.be/8mgt0UVvgak

 

 

올린 영상은, 중앙 박물관 소유 영상과 이 스튜디오에서의 제작 풍경을 내가 편집한 것. 음악은 전시 풀 사이즈 10분 정도에서 후반 피날레 3분을 발췌했다. 이번에 작곡한 후반~라스트의 핵심 테마 부분으로 전시 풀 사이즈 음악 인트로에도 같은 모티브가 사용되고 있다. 스케일감, 아시아대륙 특유의 유구함, 그리고 사계절 시공의 흐름과 그 아름다움, 그 역사적 배경과 서유기; 손오공이 등장하거나 조금 유머러스한 장면에 맞추어 만든 음악.

 

그리고 이번에 제작한 10분 가량의 풀버전에서는 중간부에 기존 작품 산트라 ASTA를 발췌한 편집과 기타 스페셜 음원도 더해서 구성했다. ASTA는 내가 2012년에 제작한 아시아를 무대로 한 대형 온라인 게임. 그 이미지가 이번 영상에 딱이라고 판단해, 스탭과 협의한 뒤 삽입하는 것에. ASTA는 서유기가 등장하는 약간 유머러스한 부분, 그리고 이어진 인간의 윤회, 환생의 부분에서도 활용. 게다가 이번 리사이즈 버전의 시작 부분에 약간 들리는 여성의 노랫소리는 2013년 영화제작으로 티베트에 갔을 때 내가 산속 사찰에서 직접 녹음한 비구니의 독경. 지금까지 계속 사용할 기회를 노렸다. 티베트 독경에서 주로 많이 들리는 것은 역시 중저음이 울리는 남성의 것인데, 이번에는 중후한 이미지보다 여성의 조금 가벼운 톤이 더 좋은 것 같아 사용해 봤는데, 딱 어울리는 것 같아 다행이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현장에서 귀 기울여 들어주세요!

 

이번 제작은 4월부터 5월에 걸쳐 거의 혼자서, 여기 가루이자와의 자택에 매일 틀어박혀 했다. 이 때문에, 평상시에 차분히 마주하는 일이 적은 지식이나 스킬도 습득할 수 있었고, 이 타입곡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꽤 Up to Date한 방법으로 만들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함께 참가해 준 엔지니어 쿠라이시 유지(Yuji Kuraishi), 오케스트라:현의 파트를 정리해 준 손동훈(Dong Hoon Song)군,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작업상, 구체적인 스튜디오 기자재로서는 Fatso, Urei 1178, Neve 33609C(B)가 대활약, 평상시와 같이 안심하고 소리를 만들 수 있었다. 이 근처의 이야기는 또 Studio Story 쪽에서 천천히 쓰려 한다.

 

플러그인적으로는 역시 OZONE이나 Vienna Ensemble Pro가 대활약, 효율적인 작업과 머신의 부하도 최대한 분산할 수 있어, 이 규모의 오케스트라&아시아·에스닉계 음원을 활용할 때에는 아무래도 「총동원」해야하는 상태가 되므로, Mac Pro 포함 모두가 한계:「빨간 불」앞에서 노력하고 있는 상태가 계속 되었지만, 특별히 Bounce도 하지 않고, 끝까지 평상시처럼 계속 넣을 수 있었다. 기자재 여러분도 수고했습니다.

 

이 곡은 원래 라이브로(연주자가) 녹음할 예정이었다. 솔직히 그 성과도 매우 흥미롭지만, 뭐 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1인~소수 완결로서의 마무리도 스킬적인 과정을 포함하여 납득하고 있습니다. 물론 더욱 위를 바라본다면 끝이 없고, 그 극치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만, 하나의 통과점으로서. 그리고 이 곡은 장래 풀사이즈 공개도 생각하고 있는 곡입니다, 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다음은 팔레트로 그리다 시리즈로 중앙 박물관의 다른 나머지 전시 4개에 대해서도 각각 이야기하려고 하니 기대하십시오. 그럼 여러분, 중앙 박물관 전시에서 만나요.

 

https://www.museum.go.kr/site/main/content/digital_realistic

 

P.S 이 전시음악을 듣고 Asia의 Carl Jenkins라고 말해준 사람이 있었는데 기분이 좀 좋다. Carl은 저도 좋아하는 영국 작곡가 키보드 연주자. 따지고 보면 JAZZ Rock 그룹 Soft Machine의 키보드>내가 중학교때의 이야기지만, 어떤 의미에서는 전설의 뮤지션. 그리고 수많은 영상 음악이나 CF 음악 제작과 솔로 콘서트도 하면서, 90년 후반 크게 영향을 받은 「Adiemus」의 장본인. 제가 런던 레코딩을 시작하는 계기가 된 사람이기도 해서 좀 감회가 새롭더라고요.